등록 : 2013.06.06 11:58 수정 : 2013.06.12 10:48

낸시랭을 인터뷰하려 한 건 지난해부터 보여준 그녀의 행보 때문이었다. ‘팝아티스트’ 낸시랭이라면 굳이 인터뷰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작품을 보면 되기 때문이다. 나는 낸시랭을 ‘예술 없는 세계를 증언하는 존재’라고 평가한 적이 있었는데, 이런 이유로 ‘예술’에 대해 질문한다는 것은 그에 대한 모독처럼 보였다.

낸시랭이 제시한 인터뷰 조건은, 세간의 이목을 끈 최근 행보에 대한 질문을 하지 않는 것이었다. 고민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정작 물어야 할 것을 묻지 못하는 인터뷰가 처음부터 예정된 것이다. 물론 조금 고민했을 뿐, 크게 개의치 않았다. 낸시랭의 최근 행보와 그의 작품세계가 분리되는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작품인 나르시시즘의 결정체

2009년 낸시랭은 <캘린더 걸>이라는 작업을 선보였다. 언제나 그렇듯 자신을 소재로 <캘린더 걸>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내게 이 작품은 이전과 다른 변화를 말해주고 있었다. 아마 그때부터 낸시랭은 현재 자신을 논란의 중심에 세운 사건을 예비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것이 변화인지 아닌지 궁금했다. 그래서 만났다.

<캘린더 걸>에 대한 생각을 풀어놓으니 눈이 반짝거렸다. 분명 누군가에게서 영향을 받았으리라 짐작하는데, 강영민(팝아티스트)이라는 이름 석 자를 말했다. ‘오빠’ 강영민의 영향으로 세상에 대해 알기 시작했다는 고백이다. 얼마 전 박정희 생가 퍼포먼스나 광주 방문도 강영민과 함께 이루어졌다. 예상대로였다. 어쨌든 그에게 무엇인가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어떻게 인터뷰를 풀어가야 할지 대충 감이 잡혔다. 초반에 손아람은 버벅대고 있었다.

인터뷰 대상으로 생각하고 접근하는 순간, 낸시랭은 안개 속으로 꼬리를 감춰버렸다. 다른 방법이 필요했다. 요즘 인터넷에서 한창 유행하는 ‘여자 사람’과 대화하는 방법을 써보기로 했다. ‘진짜? 정말이야? 웬일이야? 헐!’ 하고 마법의 주문을 외워봤다. 거짓말처럼 문이 열렸다. ‘섹시, 큐티, 키티, 낸시!’에 감춰진 의미를 이해하는 시간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아무래도 인터뷰하게 된 동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최근 낸시랭이 보여주는 모습에 대해 물었다. 최근 행보와 자신의 작업이 어떤 관련이 있는가? 어떤 이유에서 이른바 ‘사회 참여’ 같은 작업을 하게 되었는가? 자신의 작업에서 이런 행위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속사포처럼 질문을 던졌다.

“제 예술은 나르시시즘이에요”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나르시시즘이기 때문에 자신의 작업은 ‘퍼포먼스’라고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은연중에 그녀는 자신의 작업을 퍼포먼스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게 무슨 말인가? 그가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이나, 추운 겨울 날씨에도 비키니를 입고 ‘앙!’이라고 되바라지게 포즈를 취하는 것이 퍼포먼스가 아니란 말인가?

“나는 나밖에 찍지 않아요”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왔다. 말하자면, ‘나’를 찍어서 세상에 보여주는 것이 낸시랭의 ‘예술’인 것이다. 퍼포먼스를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자기를 찍든 말든 그것을 ‘전시’하면 그게 그거 아닌가? 그러나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그에게는 자신의 작업에 대한 확고한 원칙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나는 처음에 그림만 그리던 소박한 작가였어요”라는 진술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열심히 그림만 그리면 뭐가 될 줄 알았죠.” 아마 그랬을 것이다. 그의 표현대로 집이 망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그도 열심히 그림 그리면서 화가 노릇을 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화가 일반을 ‘고상한 부류’로 매도할 의도는 아니다. 화가도 나름대로 애환이 있지 않은가. 다만, 낸시랭이 더 이상 얌전하게 앉아서 그림 그릴 수 없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 집은 망했고, 앞길은 막막했다. “이대로 주저앉을 수 없었어요. 그래서 무엇이든 해봐야겠다는 생각에, 이탈리아의 베니스 비엔날레로 갔어요.” 그녀는 초대장도 없이 갔다. 그곳에 유명한 ‘비키니쇼’가 있었고, 우리가 알던 낸시랭이 탄생했다. 이야기를 듣다 보니, 얌전하게 공부만 하던 학생이 갑자기 가출한 기분이었다.

확실히 낸시랭 자신이 ‘작품’이었다. 그가 만들어낸 것은 자신을 위한 것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자신의 작업을 ‘퍼포먼스’라고 부르지 않는 것 같았다. 자신을 위한 작업이기 때문에 보여줄 필요가 없는 셈이다. 이런 예술이 가능할까? 낸시랭의 의견에 따르면 불가능할 것도 없었다. “사람들은 내가 꾸준히 개인전을 열어온 작가라는 사실을 간과해요.” 이 말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낸시랭의 모습에 대한 반격 같은 것이었다.

인터넷에서 최근 두드러진 그의 행보를 두고 “아는 것도 없으면서 끼어든다”는 비아냥을 날리는 이들에게 낸시랭의 진실은 불편할지도 모르겠다. 작가에게 전시는 가수가 앨범을 내는 것과 마찬가지다. 해마다 지속적으로 전시를 준비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생각해보니 그랬던 것 같다. 그가 하는 작업에 대해 사람들은 거의 말하지 않았다. 나 역시 그 사실을 잘 모르고 있었다.

작가가 자신의 작업을 꾸준히 한다는 것은 의미심장한 일이다. 무엇이 되었든, 작가로서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왕’ 조용필이 왜 엄청난 사비를 들여가면서 새 앨범을 내려 했는지 창작을 소명으로 삼는 이들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이 작가로서 자기 자신을 유지하도록 만드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가 만들어놓은 이미지는 의도적 측면이 농후하다. 최근 ‘앙!’을 비롯해 그가 평소 즐겨 보여주는 ‘귀요미’(귀엽다는 의미의 신조어) 이미지는 필요에 따라 구성된 ‘인공성’이다. 아니나 다를까, 인터뷰가 편안해지자 귀요미 낸시랭은 점차 사라지고 평범한 낸시랭이 드러났다.

<기사 전문은 <나·들> 인쇄판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 이택광 영국 셰필드대학 문화학 박사. 경희대 영미문화전공 교수. 다양한 문화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코드를 찾아내는 작업을 한다. 지은 책으로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가이드> <이것이 문화비평이다> <한국문화의 음란한 판타지> <인상파, 파리를 그리다> 등이 있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