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3.04.04 15:14 수정 : 2013.04.04 15:14

“저는 미스코리아가 될 거라 생각했습니다.”

나는 이 말을 잊을 수 없다. 내가 다니는 대학원의 어느 여학생이 한 이야기다. 그녀의 할머니가 언제나 “우리 아가, 너는 미스코리아보다 더 사랑스럽다”고 말했기 때문에 자신도 그렇게 믿고 있었다는 것이다. “내 얼굴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게 된 뒤에야 할머니 말씀이 무슨 뜻인지 알게 됐다”며 그녀는 웃었다.

이런 할머니와 손녀의 대화는 사실 한국에서 종종 들을 수 있는 일상 이야기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다르다. 일본 사람에게 겸손을 미덕으로 삼는 습관이 있어서일까. 사람을 무조건 칭찬하는 경우는 의외로 드물다. 적어도 내게 ‘어느 누가 뭐라 해도 우리 애는 최고다’라는 얘기를 해주는 사람은 없다.

앞의 미스코리아 같은 이야기는 할머니와 손녀 관계뿐만 아니라 친족 관계도 원만하게 해준다. 사람들은 농담인 줄 알면서 그런 칭찬에 기분이 좋아진다. 그것을 한국의 할머니들은 과장되게 큰소리로 말한다. 때로는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을 만큼 진지하게 말한다. 이것이 일상의 회화다. ‘우리 아기는 예쁘지 않다’는 객관적 사실을 말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처럼 애정이 흘러넘치는 한국 가족의 대화가 무척 부럽다.

사과하면 용서? 적을 사랑하라

지난 이명박 정권이 취해온 대북 정책에 대해서, 나는 한민족이며 기독교인이기도 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기대를 했다. 그러나 ‘적을 사랑하며, 박해하는 자를 위해 기도하라’는 성구와 달리, 그는 ‘사과하면 용서해준다. 사과하지 않기 때문에 용서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했다. 그것이 아주 정당하고 상식적인 일처럼. 더욱이 그것은 대통령뿐만 아니라 많은 한국 국민의 자세이기도 한 것 같다. 그리고 남북 관계는 한층 더 차가워졌다. 지금 상태라면 박근혜 정권도 같은 노선을 더듬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밖에 없다.

<기사 전문은 <나·들> 인쇄판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 와다 신스케 일본 교토대학에서 삼림학을 전공하고 동국대 북한학과 박사 과정을 마쳤다. 학자가 되려는 목적이 아니라 인맥을 만들기 위해 학생 신분으로 한국에 왔다. 미식축구 전 일본 우승 두 번, 2011년 미식축구 한국대표팀 코치를 지냈다. 일본 사람으로서 탈북자를 통해 보는 남북한 통일을 모색 중이다.

광고

광고